Post

Go언어 학습자료 생성 프롬프트

Go언어 학습에 사용한 프롬프트

Go언어 학습자료 생성 프롬프트

Go언어에 관한 수업 교안을 포스팅 할거야. 다음의 내용에 따라 진행해줘.

전체 커리큘럼

주제학습 내용
Go 소개 & 환경설정설치, 개발환경(VSCode/GoLand), hello world
기본 문법변수, 상수, 타입, 제어문, 함수
배열·슬라이스·맵컬렉션 자료형, 순회, 수정
포인터값/참조 전달, 메모리 개념
간단 실습구구단, 계산기, 전화번호부
구조체 & 메서드구조체 정의, 메서드 바인딩
인터페이스다형성, 인터페이스 구현
패키지 & 모듈go mod, 패키지 설계
에러 처리error, panic & recover
고루틴동시성 기본, go 키워드
채널 & 동기화채널, Mutex, WaitGroup
미니 프로젝트 2멀티스레드 채팅 서버
파일 입출력JSON, Config 로드
리플렉션reflect 활용
컨텍스트타임아웃, 취소
암호화Web3의 핵심 개념인 디지털 서명검증에 필요한 암호화의 이해
간단 블록체인블록 생성 & 검증
HTTP 네트워킹HTTP 서버, HTTP 클라이언트
고급 동시성Worker Pool, Select
REST APICRUD 서버 제작

오늘의 수업 내용과 생성될 파일

수업내용파일
암호화24-11-05-Go언어-암호화.md

수업 내용은 new.md 파일에 정리되어 있는 것을 토대로 함

작성 지침

  1. 모든 포스팅은 한국어로 진행
  2. 포스팅의 헤더는 “24-10-12-Go언어-시작하기.md” 파일을 참고할 것
  3. 독자는 JAVA언어를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Java언어와 비교하면서 내용을 전개
    • 표와 다이어그램을 최대한 활용하여 내용을 작성할 것
  4. 바이브코딩을 목표로 하는 포스팅이므로 하나의 주제를 정해놓고 최종적으로 그 주제가 완성되는 스토리면 좋겠음
  5. 각 주제마다 실습 예제가 필요함
    • 실습은 VSCode로 진행하고 코드 실행은 CodeRunner 익스텐션을 사용하고 있음
    • Workspace 디렉토리 안에 일련번호-단원명 폴더를 만들고 그 폴더 안에 각 주제에 맞는 실습 파일을 생성해야 함
      • 폴더 이름은 직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넘버링과 현재 단원에 적합한 폴더명을 사용할 것
    • 실습 파일은 01부터 1씩 증가하는 일련번호로 실습명의 폴더가 주어지고 그 안에 main.go 파일로 생성됨
  6. 실습 위주의 학습 교안이 작성되어야 함
  7. 가능하다면 실습 코드 제시 전 예제의 실행 흐름을 다이어그램(가능하다면 시퀀스 다이어그램, 불가능할 경우 그 외의 다른 종류)으로도 설명할 것.
    • 사용하는 uml언어 종류는 mermaid임
  8. 가능하다면 실습 소스코드의 각 행에 주석으로 설명을 추가할 것.
  9. 같은 폴더의 이전 포스팅(*.md)과 중복되는 내용은 제외할 것
  10. 어투는 존대말이 아닌 간결하게 사용
    • 예) ~했음. ~임
  11. 소스코드 제시 전 아래와 같이 소스코드의 경로를 먼저 제시할 것
    1
    
    **실습 파일: `06-구조체와-메서드/01-구조체-정의/main.go`**
    
  12. 포스팅 파일 작성이 완료되면 파일의 내용을 다시 한번 검토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것.
    • Java언어와의 비교
    • 예제 소스코드의 주석 상세화
    • 예제 소스 제시 전 소스코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

실습 폴더 생성 예시

1
2
3
4
5
6
7
02-기본문법          <--- 단원명(수업주제에 맞는 단원명을 사용할 것)
│
├─01-variables      <--- 예제명
│      main.go      <--- 소스파일
│
└─02-constants
        main.go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