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st

변수의 토글 처리 기법

20대 초반에 고민해 본 변수의 토글 처리 방법에 대한 글 입니다. 프로그래밍에 대한 재미를 처음 느껴봤던 주제인만큼 이 글은 오랫동안 보관하고 있습니다. 가벼운 주제이지만 스스로에게는 무척 의미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초심을 기억해 내고자 할 때마다 읽어보는 글 입니다.

변수의 토글 처리 기법

1. bool 타입

제일 쉬운 경우. 별로 설명이 필요없는 듯.

1
2
boolean toggle = true;
toggle = !toggle;

2. 1과 -1의 토글

마찬가지로 아주 쉽다.

2-2, 3-3의 토글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겠지만, 그런 토글을 사용할 일은 아직까지 한번도 없었다.

1
2
int toggle = 1;
toggle = -toggle;

3. 0과 1의 토글

그냥 bool로 해도 되겠지만, 0과 2의 토글, 0과 3의 토글 등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고, 이렇게 0과 어떤 숫자와의 토글을 써야하는 때가 의외로 자주 있다.

보통의 경우 이렇게 많이 쓴다.

1
2
3
4
5
6
7
int toggle = 1;

if (toggle == 1) {
    toggle = 0;
} else {
    toggle = 1;
}

조금 더 생각을 한다면, 3항 연산자를 사용해서 다음과 같은 처리가 가능해 진다.

개인적으로 두가지 조건을 갖는 변수의 경우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경우.

1
2
int toggle = 1;
toggle = (toggle == 1) ? 0 : 1;

논리연산을 하지 않으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.

실은 이것이 내가 가장 잘 사용하는 방법이다.

주로 메뉴를 만들때 키 포커싱을 처리하는 방법이다.

1
2
int toggle = 1;
toggle = (toggle + 1) % 2;

혹은 이렇게도 사용 가능하다.

1
2
int toggle = 1;
toggle = (toggle + 1) & 0x01;

여러 모로 생각해 본 결과 가장 사용하기 편리하고 직관적인 방법인 이거다.

정말로 단순하면서도 최고의 팁이다.

단 한번의 연산으로 토글이 되는 방법!!

1
2
int toggle = 1;
toggle = 1 - toggle;

하지만 위의 방법보다 더 고차원 적인 XOR 을 사용해서 토글 처리가 가능한 방법이 있다.

1
2
int toggle = 1;
toggle ^= 1;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